Docker 4

[도커 알아가기] 4. 도커 네트워크

관련 글 목록1. 컨테이너 기술2. 도커와 Docker engine3. 도커 네트워크4. 도커 포트포워딩 시 서버 폭파 문제해결 그동안 컨테이너 기술, 도커, 도커네트워크에 관하여 알아보았습니다.현재 프로젝트에서 사용중인 bridge 네트워크의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았으니, 문제가 될 만한 부분을 추측하고 원인을 찾아 해결해 보겠습니다.그렇다면 포트포워딩 설정을 많이했을 때 왜 서버가 터졌는가?원인 추측많은 proxy 프로세스로 인한 과부하포트매핑 별로 docker-proxy 프로세스가 생기기 떄문에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.테스트테스트 환경M1 맥북에 우분투 18버전을 설치하여 최대한 클라우드 환경과 비슷하게 세팅하였습니다.CPU 2코어, 메모리 4GB (클라우드 메모리는 8GB)컨테이너 실행을 위해 N..

Docker 2025.03.11

[도커 알아가기] 3. 도커 네트워크

관련 글 목록1. 컨테이너 기술2. 도커와 Docker engine3. 도커 네트워크4. 도커 포트포워딩 시 서버 폭파 문제해결 지난 글에서 도커의 실행 방식을 알아보았으니, 이제 도커 네트워크는 어떻게 구성되어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.Docker 네트워크의 종류도커 네트워크의 종류는 6개가 있다고 한다. (공식문서 : https://docs.docker.com/engine/network/ )Bridge Network기본적인 네트워크 드라이버Docker Daemon이 관리하는 가상의 브리지 네트워크를 사용컨테이너는 이 네트워크 내에서 IP 주소를 할당받고, 다른 컨테이너와 통신애플리케이션이 동일한 호스트의 다른 컨테이너와 통신해야 하는 컨테이너에서 실행될 때 일반적으로 사용Host Network호스트 시스템..

Docker 2025.01.16

[도커 알아가기] 2. 도커와 Docker engine

관련 글 목록1. 컨테이너 기술2. 도커와 Docker engine3. 도커 네트워크4. 도커 포트포워딩 시 서버 폭파 문제해결 1편에서 컨테이너 기술의 역사와 동작원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이어서 도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도커란?컨테이너화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오픈 소스 플랫폼애플리케이션 개발, 배포, 실행의 모든 과정을 자동화하고 간소화하는 데 도움을 줌도커의 발전과정초기엔 LXC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음docker초기에는 lxc를 사용하여 컨테이너를 실행Docker의 컨셉과 어울리지 않고(LXC의 복잡함, 과도한 기능),의존성 문제 떄문에 Libcontainer를 개발LXC : 각 컨테이너가 독립적인 리눅스 시스템처럼 동작할 수 있게 함⇒ docker는 애플리케이션만 독립되면 됨.Libcontain..

Docker 2025.01.16

[도커 알아가기] 1. 컨테이너 기술

관련 글 목록1. 컨테이너 기술2. 도커와 Docker engine3. 도커 네트워크4. 도커 포트포워딩 시 서버 폭파 문제해결주제 선정 이유프로젝트에서 CI/CD를 편하게 하기 위해 도커를 사용중입니다.Mediasoup 라이브러리는 접속자 한명 당 두개의 포트가 필요합니다.현재는 도커 bridge모드를 사용하여 포트 매핑을 통해 컨테이너와 네트워크 연결하고 있습니다.많은 사용자 접속을 위해, 많은 포트를 매핑 시 CPU 사용량 때문에 서버가 터지는 문제 발생하였습니다.도커 네트워크 모드 변경을 통하여 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합니다. (브릿지모드 → 호스트 모드)별다른 공부 없이 네트워크 연결 방식 변경으로 해결하기보다는 도커의 작동원리, 컨셉들을 잘 이해하여 왜? 어째서? 이런 문제가 생겼는지,..

Docker 2025.01.16